분류 전체보기 47

GEN 0.1

AIP 탐구 첫번째 PART 1 - GENERAL (GEN)이다. 기본적으로 PDF 및 종이 AIP에서 볼 수 있는 한글을 그대로 가져왔으며 중요한 부분이나, 부가설명으로 코멘트를 덧붙였다. GENERAL은 총론으로 번역하는듯 하다. Doc.10066 및 「항공정보 및 항공지도 등에 관한 업무기준 [별표 2]항공정보간행물 수록기준」에 따라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GEN 0.1 머리말(Preface)다음사항을 포함한 항공정보간행물에 대한 간략한 설명 1) 발행기관의 명칭 2) 적용한 국제민간항공기구 규정(documents) 3) 간행물 매체(예, 인쇄물, 온라인 또는 기타 전자매체) 4) 항공정보간행물 구성과 정해진 정기 수정판 발간 간격 5) 적용 시, 저작권 정책6) 항공정보간행물 내용의..

김포공항 국제선 취항 가능 거리

인천공항이 개항하면서 김포공항의(전국의) 국제선 기능은 인천공항으로 넘어갔으나 국토부의 인천 몰아주기, 일부 노선은 다시 김포에서 운항하고 있다. 그런데 김포에서 운항하는 국제선을 보면 하네다(김네다라고 불린다), 간사이, 가오슝, 타이페이, 베이징, 상하이만 존재한다. 왜 더 먼 곳의 공항까지 취항하지 못하는 것일까? 정답은 국토교통부훈령에서 찾을 수 있다.김포공항의 국제선 전세편 운영규정 [국토교통부훈령 제1346호]그렇다고 한다. 김포공항에서의 국제선 운영은 위 규정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거리에 대한 내용도 동 규정에 명시되어 있다.제5조 1호에 따르면 김포공항으로부터 반경 2,000km 이내에 위치한 외국공항이어야 함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2,000km 이내의 크기는 어느 정..

항덕 2024.05.30

Stopway와 Blastpad

부제: >>>>>부제 2: 노란 갈매기 운항관리에서 활주로의 거리는 중요한 요소이다.Declared Distance에서 Stopway가 포함된 ASDA를 공부하던 중 Stopway가 노란색 >>>로 표시된다라는 것을 보았다.  우리나라에서 Stopway가 있는 활주로는 인천공항과 정석비행장이 유이하다. 유의하세요 정확한 Stopway의 길이와 폭 및 Declared Distances는 AIP AD 2.12와 2.13을 참고하세요. 차트와 교차 검증할 것. 의심하고 의심해라 젭슨도 가끔 틀리더라  그러나 노란색 >>>은 Stopway가 없는 공항에서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된 것일까? AIP가 잘못되었나? Stopway 표지의 정의가 잘못된 것일까?아니다. AIP도 맞고, Stopway 설명도..

항공정보간행물 AIP의 근거는?

항공과 관련된 직종에서 AIP를 안들어본 사람이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 AIP의 내용은 워낙 방대하고 다양한 이야기가 있다. 공항, 항로, 규정, 관계 법령까지~ 늘 보던 정보만 찾아보다보면 가끔 이 내용이 어디있나 햇갈리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AIP 전체의 목차와 내용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근거를 찾아왔다. 분명 항공정보론 공부하면서 봤었던거 같은데 다시 찾으려고하니 9분이나 걸렸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티스토리 운영중 AIP의 순서와 내용의 근거는 1. ICAO ANNEX 15(Aeronautical Information Services) - 5.2 2. ICAO DOC 10066(Aeronautical Information Management)[PANS-AIM] - Chapter 5, Append..

APM에는 어떤 내용이 - B737 MAX 8(B38M)을 기준으로

지난 글에서 항공기의 기본적인 정보를 알 수 있는 APM이라는 문서를 받을 수 있는 곳을 소개했었다. https://mig256.tistory.com/m/4 항공기 제원 공식 사이트부제: 언제까지 나무위키만 볼 거니? 부제 2: MTOW가 어케됩니까? 항공역학이나 항공기 성능, 운항관리에 대해 공부하다 보면 (또는 그냥 궁금할 때) MTOW 같은 중량 정보나 높이, 길이와 같은 항공mig256.tistory.com 보잉 737 맥스 8(B38M)을 기준으로 어떤 내용이 담겨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먼저 표지다 737 MAX Airplane Characteristics for Airport Planning 즉, 공항 계획을 위한 737 맥스 항공기 특성 정도로 해석된다. 보잉의 경우 기종별로 세부모델이 ..

항공기 제원 공식 자료

부제: 언제까지 나무위키만 볼 거니?부제 2: MTOW가 어케됩니까? 항공역학이나 항공기 성능, 운항관리에 대해 공부하다 보면 (또는 그냥 궁금할 때) MTOW 같은 중량 정보나 높이, 길이와 같은 항공기 제원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가 필요할 때가 있다. 가장 좋은 것은 항공사에서 쓰는 공식 FPPM이나 AFM, 항공기 제작사의 공식자료가 가장 좋지만 기본적인 정보는 인터넷에서 찾아 참고하는 경우도 있다. (그럼 신뢰도는?) 이제부터 공식 자료 쓰세요. 아래의 링크는 에어버스 보잉 등 항공기 제작사의 항공기 제원을 알려주는 (Airport and Maintenance planning) 공식사이트 및 문서이다. 원래 용도는 공항 설계를 위한 정보인 거 같은데 항공기 제원 및 성능, 포장강도, 지상이동..

항공교통학 A~Z

항공교통학전공을 공부하며 내가 정리한 내용을 하나씩 포스팅해보고자 한다. 개인적으로 각 자료의 근거를 중요시하는 나로썬 재미있게 해오던 일이다. 기존에 Notion에 정리해둔 내용을 포스팅 양식에 맞게 업로드할 예정이다. 하지만 이 자료들은 2학년 수준에 멈춰있기에, 운항관리사나 관심 있는 분야를 추가적으로 공부하면서 정리하는 내용도 올릴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