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COTS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 PACOTS의 개념
2. PACOTS의 구성
3. PACOTS의 명칭 및 종류
4. PACOTS의 특징
1. PACOTS의 개념


FR24나 Skyvector를 보면 태평양에 ATS 항공로 이외에 연두색, 하늘색 항로같은것이 나타나 있고 그 위로 항공기들이 비행하는 것을 본적 있을것이다. 바로 이것이 PACOTS이다.
Pacific Organized Track System의 약어로 일본과 동아시아에서 하와이와 북미 서부 지역을 연결하는 일련의 가변적인 항공로들이다. 일본과 미국 텍사스를 잇는 항로도 있다.
북대서양에도 비슷한 개념의 NATs(North Atlantic Tracks)가 있다.
기존에 태평양을 횡단하는 ATS 항로도 존재한다. NOPAC(North Pacific) Route System 그러나, 태평양을 횡단하는 항공편이 늘어남에 따라 공역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PACOTS은 개발되었다.
PACOTS은 Track이라고 불리는 항로가 매일 설정되는데 상층풍(편서풍 및 제트기류 주로 제트기류임)을 고려한 최적의 루트로 비행하기 위해서이다.

Westbound의 경우 상층풍(Headwinds) 피하기 위해서 Eastbound의 경우 상층풍(Tailwinds)을 타고 비행하기 위한 항로가 설정된다.
2. PACOTS의 구성
PACOTS은 일본과 미국/하와이 관문(Gateway) 간 매일 유동적으로 설정되는 TRACK과 이를 연결하는 OTRs(Oceanic Transition Routes)로 구성된다. 항로는 위도/경도, ATS 항로, ORT 또는 명명된 지점(FIX)에 의해 정해진다.
Track은 후쿠오카, 오클랜드, 앵커리지 FIR 내에 설정될 수 있으며, 후쿠오카 FIR의 북쪽 경계는 ATS 항로 R220이다.



RJAA - KSEA 루트를 TRACK1을 이용해서 만들어본다면 위와 비슷할것이다. 아마? UPR은 아직 심화개념이니 제외하고
3. PACOTS의 명칭 및 종류
PACOTS은 방향에 따라 이름이 붙여지는데
Eastbound는 숫자로
Westbound는 영어로 track 이름이정해진다.
Westbound | |
Routes | Track Designators |
하와이 to 일본 | A B(Optional) |
북미 to 일본 | C D(Optional), E & F M[Texas] |
북미 to 동남아시아 | H(Optional) & I(Optional), J & K |
Eastbound | |
Routes | Track Designators |
일본 to 북미 | 1, 2 & 3 4(Optional) 8[Texas] |
일본 to 하와이 | 11 12(Optional) |
동남아시아 to 북미 | 14 15(Optional) |
항공교통량 수요, 기상 조건(위험기상), 군사 활동 또는 각종 제한에 의해 이 track의 수를 조정하여 더 많거나 적을 수 있다.
4. PACOTS의 특징
PACOTS의 기본적인 요구항행조건은 RNP10이고, PACOTS TRACK 간 최소 간격은 50NM, 10분 분리가 이루어진다.
PACOTS은 후쿠오카 FIR, 오클랜드 Oceanic FIR, 앵커리지 FIR 내에서 ATS 항로도 이용하여 정해질 수 있다. TRACK은 하루에 두번 후쿠오카 ATMC(Air Traffic Management Center)과 오클랜드 ARTCC의 협의로 설정된다.
오클랜드 ARTCC는 PACOTS 항로 발행을 위해 TDM(Track Definition Message)을 이용한다.
Westbound TRACK(영어 지시자)은 NOTAM 검색에서 KZAK TDM으로 검색하면 찾을 수 있다.

Eastboudn TRACK(숫자 지시자)은 RJJJ PACOTS으로 검색하면 찾을 수 있다.

Skyvector.com에서도 PACOTS을 클릭해서 보면 녹색의 Westbound Track은 TDM이 하늘색의 Eastbound Track은 NOTAM 전문이 들어가 있는것을 볼 수 있다.
출처
PACOTS Flight Planning Guidance, FAA
2025, Pacific Resource Guide, FAA
PACIFIC ORGANIZED TRACK SYSTEM (PACOTS) GUIDELINES, JEPPSEN
AIP ENR 3.5 OTHER ROUTES [3 ADDITIONAL ARTICLES FOR ATS ROUTE] {3.2 PACOTS}, AIS JAPANS
PACIFIC ORGANIZED TRACK SYSTEM (PACOTS), Skybrary
고고도 SIGWX 차트, 항공기상청
SKYVECTOR.COM
PFPX
'Oceanic Procedur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PAC (North Pacific) Route System - 비행계획 (0) | 2025.03.28 |
---|---|
NOPAC (North Pacific) Route System - 분리기준 (0) | 2025.03.15 |
NOPAC (North Pacific) Route System - 항로 (0) | 2025.03.14 |
NOPAC (North Pacific) Route System - 기초 (1) | 2025.02.26 |